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티앤엘(A340570) 오를까? AUG_08_2025

by Brainist 2025. 8. 9.

한국증시의 상승세가 꺾이지 않은 가운데, 관심가는 종목을 분석해 봅니다. 티앤엘(A340570)은 붙이는 상처치료제를 제조하며, 재무건전성도 좋고, 영업이익도 꾸준히 발생하는 기업으로 amazon에서도 잘 팔리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가 부진하지만, 하반기에는 상승세를 기대해 봅니다. 

 

티앤엘 일봉 캔들 주식차트 하락추세가 멈추고 바닥을 다지는 양상임.
< 08_AUG_2025 15:30 일봉차트 >

I. 요약

티앤엘(주식회사 티앤엘, 종목코드 A340570)은 1998년 설립되어 2020년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으로, 고기능성 소재 기술을 의료 분야에 적용하여 창상피복재, 골절치료용 고정재, 의료용 소모품 및 친환경 수성수지 등의 화학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여드름 패치인 '마이티 패치(Mighty Patch)'의 성공적인 판매를 통해 상당한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지난 12개월 동안 티앤엘의 주가는 19.5%에서 42.7%에 이르는 견조한 절대 수익률을 기록하며 긍정적인 추세를 보였습니다.

최근 1개월(-8.0% ~ 1.4%) 및 3개월(-2.8% ~ -0.5%) 동안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며 주가 흐름이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59,900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최근 주가 부진의 주요 원인은 현재의 운영상 문제보다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 기인합니다. 

  • 미국 수출 관세 불확실성: 미국으로의 수출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티앤엘의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가격 압박 및 수익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2025년 실적 전망치 하향 조정: 여러 증권사에서 관세 영향 및 환율 변동을 반영하여 2025년 2분기 및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 추정치를 하향 조정했습니다.
  • '피크아웃(Peak Out)' 우려: 회사는 부인하고 있으나, 2025년 2분기 해외 창상피복재 수주잔고 감소가 일부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성장 둔화의 신호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 투자 심리 악화 및 매도 압력: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들의 순매도 추세가 관찰되며, 공매도 증가 또한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펀더멘털과 상당한 성장동력이 티앤엘의 강점입니다.

  • 미국 '마이티 패치'의 지속적인 시장 지배력: 아마존에서의 꾸준한 매출 1위 유지와 미국 시장 내 높은 침투율 잠재력은 여전히 강력한 성장 기반입니다.
  • 해외 시장 확장: 유럽 및 중국 시장으로의 적극적인 진출 노력이 진행 중입니다.
  • 생산능력(CAPA) 증설: 향후 수요에 대비하고 공급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생산 능력 확대 계획이 실행되고 있습니다.
  • 신제품 개발: 마이크로니들 패치 등 첨단 의료 기술 분야로의 사업 다각화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 견고한 재무 건전성: 높은 수익성, 유동성, 지급 능력 지표를 통해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은 관세 불확실성과 실적 전망치 조정으로 인해 지속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티앤엘의 강력한 제품 경쟁력, 확대되는 글로벌 유통망, 다각화된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은 장기적인 구조적 성장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현재 주가 수준은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진입 기회가 될 수 있으며, 이는 관세 문제의 해결과 글로벌 확장 전략의 성공적인 실행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애널리스트는 목표주가를 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II. 기업 개요: 티앤엘(A340570)

기업 프로필, 연혁 및 상장 정보

티앤엘은 1998년에 설립되었으며, 2020년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의료기기 전문 기업입니다. 고기능성 소재 기술을 의료 분야에 접목하여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종목코드는 A340570입니다.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하며, 용인(정형외과용 고정재)과 안성(창상 치료제)에 생산 공장을 두고 있으며, 중국에도 사업 거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핵심 사업 부문

티앤엘의 사업은 크게 의료기기 및 화학 제품으로 분류됩니다.

  • 창상피복재: 이 부문은 2021년 매출의 82.5%를 차지하는 가장 큰 사업 영역입니다. 주로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폴리우레탄 폼 기반의 드레싱 제품을 생산합니다. 이 제품들은 여드름 패치('마이티 패치')와 같은 피부 트러블 관리 및 일반적인 상처 치료에 사용됩니다. 국내외 50여 개 기업에 공급되며, JW중외제약, 대웅제약, 한강성심병원, 독일 로만앤라우셔 등이 주요 고객사입니다.
  • 골절치료용 고정재: 2021년 매출의 11.5%를 차지하는 부문입니다. Nemoa™ Cast, Nemoa™ Flex, Nemoa™ Elasticast와 같은 제품을 통해 골절 부위 고정 및 지지를 제공합니다.
  • 의료용 소모품: 광범위한 의료 소모품을 포함하는 카테고리입니다.
  • 화학 제품: 친환경 수성수지, 구조용 접착제, 경화제, 기능성 첨가제 등을 포함합니다.

주요 제품 심층 분석: 미국 시장 내 '마이티 패치'의 성공

'마이티 패치'는 티앤엘이 ODM(제조업자개발생산) 방식으로 미국 히어로 코스메틱스(HERO Cosmetics)에 공급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기반의 여드름 트러블 케어 제품입니다. 이 제품은 2021년 미국 아마존닷컴에 입점한 이래 현재까지 해당 부문에서 매출 1위 자리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해외 매출, 특히 미국 시장으로의 수출은 티앤엘 성장의 핵심 동력이었습니다. 수출 비중은 2018년 25%에서 2023년 70%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2022년 9월 히어로 코스메틱스를 인수한 글로벌 소비재 기업 처치앤드와이트(Church & Dwight, C&D)와의 파트너십은 '마이티 패치'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C&D는 CVS, 타깃(Target), 월마트 등 광범위한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히어로 제품은 C&D 전체 유통망의 20% 미만 지점에서만 판매되고 있어 미국 시장 내 추가적인 확장 잠재력이 매우 큽니다.

기술력, R&D 인프라 및 품질 관리 시스템

티앤엘은 소재 기술과 의료기기 기술을 기반으로 더마코스메틱 및 의약품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실, 품질분석실, 미생물시험실 등 견고한 연구개발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KGMP(한국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 및 ISO 13485(의료기기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해 기술 경쟁력과 제품 품질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주주 구성 및 주요 경영진

최대주주인 최윤소 외 9인의 특별관계자는 2024년 5월 21일 기준 총 3,463,600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발행 주식 총수 8,128,000주의 42.61%에 해당합니다. 유동 주식수는 4,608,411주로, 유동 비율은 56.70%입니다.

 

III. 산업 환경 및 시장 역학

글로벌 및 국내 의료기기 산업 개요

의료기기 산업은 자본 및 기술 집약적인 특성을 가지며, 제품 개발부터 생산까지 약 3~5년이 소요되어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필수적입니다. 이 산업은 수천 가지가 넘는 품목을 소량 생산하는 다품종 소량 생산 산업입니다. 저가 또는 일부 시장에서는 전문 중소기업이 주도하며, 고가의 첨단 고부가 제품은 소수의 대기업이 이끌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산업은 정부의 의료 정책 및 관리 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국민 건강과 직결되므로 정부의 인허가 등 규제가 필수적이며, 국가 간 인증 및 허가 제도가 상이하여 국제 교역에서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 FDA 인허가에는 평균 7.2개월, 중국은 13개월이 소요되며, 이후 시장 진입까지 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수요 측면에서 의료기기는 병원이 주요 수요처이며, 제품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됩니다. 따라서 시장 수요자들은 기존 유명 제품을 계속 사용하는 보수적인 경향이 강해 상대적으로 시장 진입 장벽이 높고 가격 탄력성은 낮습니다. 제품 인지도와 브랜드 파워가 매우 중요하며, 마케팅 장벽 및 충성도가 높아 경기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창상피복재 및 더마코스메틱 시장 특화

  • 성장 동력:
    • 인구 고령화: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국가로, 노인 진료비 증가와 함께 의료기기 및 창상피복재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 수술 건수 증가: 수술 건수 증가는 창상피복재 수요를 직접적으로 견인합니다.
    • 미용 관련 인식 확산 (K-뷰티 연계): 미용 관련 제품에 대한 인식 확산과 K-뷰티 트렌드는 여드름 패치와 같은 더마코스메틱 제품 시장의 성장을 크게 촉진하고 있습니다.
  • 시장 규모 (북미): 북미 트러블 케어 시장은 약 7조 원 규모로 추정되며, 이 중 여드름 패치 등 패치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로, 약 1조 4천억 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티앤엘의 '마이티 패치'에 상당한 성장 잠재력을 제공합니다.
  • 시장 침투율 (미국 여드름 패치): 미국 내 여드름 패치의 가정 내 침투율은 10% 이내로, 아직 초기 시장 단계에 있어 향후 높은 성장 여력이 존재합니다.

경쟁 환경 분석

티앤엘은 창상피복재 및 정형외과용 고정재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산업은 전문 중소기업이 시장을 주도하는 경향이 있으며, 티앤엘은 '마이티 패치'를 통해 미국 여드름 케어 제품 시장에서 18.4%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지배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일부 자료에서는 'Morepen Laboratories'를 경쟁사로 언급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경쟁 양상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입니다.

의료기기 산업의 '다품종 소량 생산' 특성과 개별 제품의 '수요 한정' 특성을 고려할 때 , 티앤엘이 창상피복재, 정형외과용 고정재, 의료용 소모품, 화학 제품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 은 단일 제품이나 시장 부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위험을 분산하는 전략적인 이점을 제공합니다. 이는 산업의 본질적인 특성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으로, 기업의 장기적인 안정성과 성장을 뒷받침합니다.

IV. 최근 주가 흐름 분석

주가 추이

티앤엘의 주가는 최근 12개월 동안 19.5% 에서 42.7% 의 견조한 절대 수익률을 기록하며 긍정적인 장기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현재의 주가 부진이 장기적인 추세라기보다는 최근에 발생한 현상임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최근 1개월 동안은 -8.0% 에서 1.4% 의 변동을 보였고, 3개월 동안은 -2.8% 에서 -0.5% 의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며 단기적인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현재 주가는 약 59,900원 수준입니다. 특정 시점에는 전일 대비 9.03%(6,700원) 급락한 67,500원에 장을 마감하는 등 상당한 하방 압력을 경험하기도 했습니다.

시가총액 및 거래량 동향

2025년 8월 7일 기준 티앤엘의 시가총액은 약 4,909억 원입니다. 거래량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한적이지만, 주가 변동성을 통해 거래 활동이 활발했음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 심리 및 거래 패턴

최근 투자자별 순매수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 투자자들이 순매수를 지속하는 반면,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은 순매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7월 9일부터 8월 6일까지 개인 투자자는 168,764주를 순매수했지만, 기관은 19,605주, 외국인은 154,101주를 순매도했습니다. 이는 대규모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티앤엘에 대한 투자 심리가 부정적으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또한, 공매도 증가가 언급되며 '공매도 커버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공매도 증가는 주가 하락에 대한 시장의 부정적인 전망을 반영하며, 이는 매도세를 더욱 강화하고 매수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와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도, 그리고 공매도 증가가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은 시장 참여자들이 티앤엘의 미래 전망에 대해 근본적인 의견 불일치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과거의 견조한 실적이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는 반면,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은 관세 위협, 실적 전망치 하향 조정과 같은 미래 지향적인 위험 요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러한 투자자 행동의 차이는 최근 주가 부진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표 2: 최근 주가 수익률 요약 (절대 및 상대)

기간 절대 수익률 (%) 상대 수익률 (%)
1개월 (8.0) ~ 1.4 (2.8) ~ (0.5)
3개월 (2.8) ~ (0.5) (0.5) ~ (0.5)
12개월 19.5 ~ 42.7 7.54

 

참고: 상대 수익률은 벤치마크 대비 성과를 나타내며, 1개월 및 3개월 데이터는 의 범위를 통합하여 표시. 12개월 상대 수익률은 에서 발췌.

 

표 4: 주주별 순매수 활동 (최근 1개월)

날짜 개인 순매수 (주) 기관 순매수 (주) 외인 순매수 (주)
2025-08-06 168,764 -19,605 -154,101
2025-08-05 157,485 -23,715 -138,328
2025-08-04 153,494 -26,742 -131,613
2025-08-01 144,936 -28,622 -122,240
2025-07-31 137,611 -27,462 -116,495
2025-07-30 161,391 -26,650 -137,998
2025-07-29 150,981 -25,043 -129,966
2025-07-28 157,128 -26,578 -133,803
2025-07-25 135,712 -27,552 -111,284
2025-07-24 143,966 -33,532 -113,212
2025-07-23 128,756 -33,147 -98,016
2025-07-22 125,917 -37,005 -91,157
2025-07-21 120,472 -39,397 -83,370
2025-07-18 110,685 -37,293 -74,887
2025-07-17 103,187 -31,331 -73,303
2025-07-16 96,302 -25,231 -72,366
2025-07-15 77,304 -12,211 -65,938
2025-07-14 49,218 3,563 -53,517
2025-07-11 33,483 -1,059 -32,913
2025-07-10 4,739 5,253 -9,995
2025-07-09 -1,127 2,553 -1,458

출처: (2025년 7월 9일 ~ 2025년 8월 6일 데이터)

 

V. 최근 주가 부진에 기여하는 요인 심층 분석

A. 미국 관세 우려 및 무역 정책 불확실성

티앤엘 주가 부진의 가장 중요하고 즉각적인 원인은 미국이 수입품에 부과할 가능성이 있는 관세, 특히 티앤엘의 핵심 수출 품목인 '마이티 패치'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입니다.

관세 부과는 직접적인 재무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 유통사(예: C&D)에 대한 공급 가격이 추가 비용 부담으로 인해 인하될 수 있습니다. 일부 분석에서는 티앤엘의 매출 인식이 선적 시점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므로 관세 부담의 대부분이 고객사에게 전가되어 티앤엘의 수익성에 직접적인 타격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다른 분석에서는 관세 부담에 따른 '판가 하락' 가능성을 반영하여 매출총이익률(GPM)이 하락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관세가 최종 소비자 가격을 크게 인상시킬 경우 전체 미국 수출 물량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마이티 패치'의 강력한 브랜드 파워가 물량 감소를 완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존재합니다.

주요 글로벌 파트너인 처치앤드와이트(C&D)와의 관세 부담 분담 메커니즘에 대한 시장의 시각은 엇갈립니다. 한편에서는 관세 부담이 주로 고객사에게 있다고 분석하지만 , 다른 한편에서는 티앤엘이 경쟁력 유지를 위해 일부 관세 영향을 흡수하여 판매 가격을 인하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이한 견해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주가 변동성을 높이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시장은 관세 협상 결과가 명확해질 때까지는 가장 보수적인 시나리오를 가격에 반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원화 강세 또한 수출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2024년 하반기 1,424원/달러에서 2025년 하반기 1,355원/달러로 원화 강세가 반영된 환율 가정이 실적 전망치 하향 조정의 한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잠재적인 관세 부과와 불리한 환율 변동은 미국 수출 중심의 매출과 수익성에 이중적인 악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B. 실적 전망치 하향 조정 및 시장 기대치 변화

티앤엘은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6.8% 증가하고 영업이익이 180% 증가하는 등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또한, 2024년 2분기에는 '마이티 패치'의 미국 판매 호조와 블랙 프라이데이/크리스마스 패키지 물량 소화에 힘입어 매출 513억 원, 영업이익 180억 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과거의 긍정적인 실적에도 불구하고, 최근 2025년 2분기 및 연간 실적 전망치는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상상인증권은 2025년 2분기 연결 매출액을 전년 동기 대비 17.5% 감소한 453억 원, 영업이익을 23.7% 감소한 158억 원으로 추정했습니다. LS증권 또한 2025년 연간 매출액 전망치를 기존 대비 10% 하향 조정한 1,976억 원(전년 대비 +12% 증가)으로, 영업이익은 637억 원(전년 대비 +12% 증가)으로 조정했습니다.

이러한 하향 조정의 주요 원인은 미국 관세 부과 가능성에 따른 판매 가격 인하 또는 물량 감소 가정 과 원화 강세로 인한 환율 영향 입니다. 또한, 시장 기대치를 하회한 2025년 2분기 해외 창상피복재 수주잔고 감소도 부정적인 전망에 기여했습니다.

시장은 본질적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주가에 반영합니다. 따라서 티앤엘이 과거에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주가 흐름이 좋지 않은 것은, 과거의 성과보다는 관세 위협, 환율 변동, 수주잔고 감소 등 미래 수익 전망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가 주가에 반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시장이 새로운 정보를 빠르게 소화하며 미래 기대치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표 6: 2025년 2분기 실적 추정치: 관세 우려 전후 비교

지표 2024년 2분기 전망치 (초기 긍정적 전망) 2025년 2분기 추정치 (하향 조정 후)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 하향 조정 주요 원인
매출액 513억 원 453억 원 -17.5 미국 수출 관세 영향, 환율 하락, 수주잔고 하회
영업이익 180억 원 158억 원 -23.7 미국 수출 관세 영향, 환율 하락, 수주잔고 하회
영업이익률 - 34.9% - 관세 부담에 따른 판가 하락 및 환율 영향으로 인한 GPM 하락

참고: 2024년 2분기 전망치는 당시의 긍정적 시장 기대치를 나타내며, 2025년 2분기 추정치는 최근 하향 조정된 수치임.

C. 수주잔고 동향 및 '피크아웃' 우려

최근 수주잔고 수치를 자세히 살펴보면, 2024년 1분기 해외 창상피복재 수주잔고는 202억 원으로 전년 대비 32.3%, 전분기 대비 109.4% 증가하며 긍정적인 전망을 뒷받침했습니다. 그러나 2025년 2분기 해외 창상피복재 수주잔고는 28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전분기 대비 31% 감소하며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습니다.

이러한 2025년 2분기 수주잔고의 급격한 감소 는 일부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수주잔고 급감으로 피크아웃 우려가 있다'는 해석을 낳았습니다. 그러나 티앤엘 경영진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피크아웃은 절대 아니다"라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또한, 일부 분석에서는 단기적인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마이티 패치'의 근본적인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미국 수출이 대폭 증가한 것이 관세 부과를 앞두고 유통사들이 물량을 미리 확보하려는 '선(先) 구매' 효과일 가능성도 있어, 2분기 수주잔고가 일시적으로 왜곡되었을 수 있습니다.

2025년 2분기 해외 수주잔고 감소가 '피크아웃' 우려를 증폭시킨 것은 시장의 과도한 반응 또는 오해일 수 있습니다. 해당 수치 감소는 유통사들의 관세 대비 선 구매나 일시적인 주문 시점 조정과 같은 요인에 기인한 것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티앤엘 경영진의 '피크아웃이 아니다'라는 발언과 지속적인 생산능력(CAPA) 증설 계획 은 이러한 단기적인 데이터 포인트와 장기적인 사업 방향성 간의 괴리를 보여줍니다.

표 7: 해외 창상피복재 수주잔고 추이

분기/연도 해외 창상피복재 수주잔고 (억 원)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 전분기 대비 변화율 (%)
1Q24 202 +32.3 +109.4
2Q25 289 -27 -31
Sheets로 내보내기

출처:

D. 공매도 활동 및 시장 투기

구체적인 공매도 비중은 제시되지 않았지만, '공매도가 증가했고' 투자자들이 '공매도 커버링이 들어온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는 점은 티앤엘 주식에 대한 하방 베팅이 증가했음을 시사합니다. 공매도 증가는 종종 주가 하락을 증폭시키며, 이는 부정적인 시장 심리를 강화하는 자기 실현적 예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투기적 활동은 '매도세가 더욱 강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낳고 '매수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됩니다.

공매도 증가는 단순히 부정적인 시장 심리의 결과가 아니라, 주가 부진을 심화시키는 능동적인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공매도 투자자들은 주가 하락 가능성에 베팅하며 주식을 매도하고, 이러한 매도 압력은 주가를 더욱 끌어내려 다른 투자자들의 손절매를 유발하거나 공포 심리를 확산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 주가 하락의 일부는 기업의 펀더멘털 재평가뿐만 아니라, 투기적인 공매도 활동에 의해 가속화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E. 기타 확인된 역풍

일부 자료에서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경영진에 대한 불만'이 존재한다는 점이 간략하게 언급되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이는 투자 신뢰도를 약화시키고 부정적인 전망에 기여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또한, '이지홀딩스'의 자회사 '티앤엘'이 '한국엠씨씨로지스틱스'에 흡수 합병되어 해산한다는 공시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이지홀딩스의 자회사에 대한 공시이며, 본 보고서에서 분석하는 코스닥 상장법인 티앤엘(A340570)과는 다른 법인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이 정보는 현재 분석 대상인 티앤엘의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VI. 완화 요인 및 미래 성장 전망

A. 미국 시장 내 '마이티 패치'의 지속적인 강점 및 성장 잠재력

'마이티 패치'는 2021년 아마존닷컴 입점 이래 현재까지 해당 부문에서 매출 1위 자리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제품-시장 적합성과 브랜드 인지도가 매우 강력함을 보여줍니다. 미국 여드름 패치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로, 가정 내 침투율이 10% 미만으로 추정되며, 북미 전체 트러블 케어 시장은 약 7조 원 규모, 패치 시장은 약 1조 4천억 원 규모로 상당한 성장 여력이 남아있습니다.

주요 파트너사인 처치앤드와이트(C&D)와의 전략적 관계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C&D가 '마이티 패치'의 유통사인 히어로 코스메틱스를 인수한 것은 티앤엘에 CVS, 타깃, 월마트 등 C&D의 광범위한 글로벌 유통망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현재 히어로 제품은 C&D 전체 유통망의 20% 미만 지점에서만 판매되고 있어, 기존 파트너십 내에서도 향후 상당한 확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이티 패치'의 지속적인 시장 지배력과 미국 시장 내 낮은 침투율, 그리고 C&D의 광범위한 유통망을 통한 엄청난 미개척 잠재력은 현재의 관세 우려가 단기적인 장애물일 뿐, 근본적으로 강력한 장기 성장 궤도에 있음을 시사합니다. '여드름 패치는 '마이티 패치'로 통한다'는 인식이 형성될 정도로 제품의 브랜드 가치가 확고하여, 가격 압박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강력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B. 해외 시장 확장 노력

티앤엘은 미국 시장 외에 유럽 및 중국 시장으로의 확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 유럽 시장 진출 및 전망: 유럽은 티앤엘에게 중요한 신규 시장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아직 초기 진입 단계로 매출 가시화에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C&D의 유통망을 적극 활용하여 시장 침투를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 중국 시장 기회 및 도전: 중국에서는 이미 티앤엘의 여드름 패치 수요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올리브영의 중국 오프라인 매장 진출 여부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지만, 이는 매출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촉매제가 될 수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 특화된 관세 불확실성에 직면한 상황에서 , 유럽과 중국으로의 지리적 다각화는 매우 중요한 전략적 의미를 가집니다. 이러한 확장은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뿐만 아니라, 단일 시장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낮춰 특정 국가의 정책 변화나 무역 분쟁과 같은 위험에 대한 노출을 줄여줍니다. 이는 장기적인 사업 안정성과 성장 탄력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C. 신제품 개발 및 다각화

티앤엘은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핵심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으며, 미국 ODM 공급을 통해 이미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 기반의 경피약물전달시스템(TDDS), 스마트 패치, 지혈재 등 혁신적인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티앤엘은 단순히 트러블 패치 기업을 넘어 종합 소재 기업으로의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같은 신제품 카테고리에 대한 투자는 현재 주력 제품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시장 역학이나 관세 문제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미래 성장 동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파이프라인은 장기적인 혁신과 사업 다각화에 대한 티앤엘의 의지를 보여주며, 현재의 단기적인 시장 상황을 넘어선 장기 성장 스토리를 뒷받침합니다.

D. 생산능력(CAPA) 증설

티앤엘의 생산능력은 현재 1,000억 원 규모에서 1,250억 원으로 증설될 예정이며, 풀가동 시 최대 2,500억 원까지 확대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산능력 증설은 '피크아웃' 우려를 직접적으로 해소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업은 판매 감소를 예상한다면 대규모 생산 설비 투자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이는 경영진이 장기적인 수요 증가를 확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증거이며, 향후 미국 시장 침투율 확대, 유럽 시장 확장, 신제품 출시 등으로 인한 수요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E. 견고한 내재적 펀더멘털

티앤엘은 뛰어난 수익성과 견고한 재무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 강력한 수익성: 2023년 연간 매출액은 1,748억 9,167만 원으로 전년 대비 51.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569억 5,734만 원으로 전년 대비 84.7% 증가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464억 7,51만 원으로 전년 대비 69.1% 증가했습니다. 2025년 1분기에도 매출액 513억 원(전년 대비 +107%), 영업이익 202억 원(전년 대비 +180%), 영업이익률 39%를 기록하며 높은 수익성을 입증했습니다.
  • 건전한 재무 상태:
    • 부채비율: 2020년부터 2024년까지 9.13%에서 14.96% 사이로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하며, 부채 의존도가 미미함을 보여줍니다.
    • 유동비율 및 당좌비율: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유동비율은 483.06%에서 757.22%, 당좌비율은 399.83%에서 674.52%를 기록하며 매우 높은 유동성을 나타냅니다. 이는 단기 부채 상환 능력이 매우 우수함을 의미합니다.
    • 이자보상비율: 2,905.84에서 5,724.95에 이르는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이자 비용을 감당할 능력이 탁월함을 보여줍니다.

최근 주가 부진이 미래에 대한 우려에 기인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티앤엘의 탁월한 재무 건전성은 기업이 잠재적인 관세 영향과 같은 단기적인 시장 역풍을 충분히 견뎌낼 수 있는 강력한 안전망을 제공합니다. 높은 수익성과 낮은 부채 비율은 기업이 재정적 부담 없이 장기 성장 전략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따라서 현재의 주가 부진은 기업의 근본적인 지급 능력이나 수익성 위기라기보다는 시장 심리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VII. 재무 건전성 및 밸류에이션 분석

재무제표 종합 검토

티앤엘은 꾸준한 매출 성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3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51.5% 증가했습니다. 매출총이익률 또한 높게 유지되며, 영업이익률은 2025년 2분기 추정치 34.9% , 2025년 1분기 실제 39% 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수준을 보입니다. 이는 효율적인 비용 관리와 강력한 제품 가격 결정력을 반영합니다.

재무상태표는 앞서 언급했듯이 낮은 부채와 높은 자기자본으로 구성되어 재무적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현금흐름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한적이지만, 높은 수익성을 고려할 때 견조한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창출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표 1: 티앤엘 주요 재무 실적 (2023-2025E)

지표 2023 (실적) 2024E (전망치) 2025E (전망치)
매출액 (억 원) 1,748.9 2,285.0 ~ 1,640.0 1,976.0 ~ 2,285.0
영업이익 (억 원) 569.6 838.0 ~ 490.0 637.0 ~ 838.0
순이익 (억 원) 464.1 - -
영업이익률 (%) 32.6 36.7 ~ 29.9 32.2 ~ 36.7
순이익률 (%) 26.5 - -
EPS (원) - - 6,894

참고: 2024E 및 2025E 매출액/영업이익은 여러 증권사 전망치 범위로 표시. 은 2025년 매출액 2,285억, 영업이익 838억 추정. 은 2025년 매출액 1,976억, 영업이익 637억 추정. 은 2024년 매출액 1,640억, 영업이익 490억 추정.

주요 재무 비율

  • 수익성: 영업이익률(OPM)은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효율적인 비용 관리와 강력한 제품 경쟁력을 보여줍니다.
  • 유동성: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은 단기 부채에 대한 충분한 자산 커버리지를 나타냅니다.
  • 지급 능력: 부채비율은 레버리지로 인한 재무 위험이 미미함을 보여줍니다.
  • 활동성 비율: 총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등은 자산 활용 및 운전자본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밸류에이션 멀티플

티앤엘의 현재 주가수익비율(PER)은 2025년 8월 7일 기준 10.58배 또는 13.93배 입니다. 12개월 선행 PER은 7.86배 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업종 PER이 954.40배 로 매우 높게 형성되어 있어, 티앤엘이 광범위한 산업 평균 대비 현저히 저평가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83배 이며, 배당수익률은 1.24%입니다.

일부 보고서는 티앤엘이 2020년 상장 이후 역사적 PER 추이 대비 '저평가 국면'에 있다고 분석합니다. 또한, ROE(자기자본이익률) 대비 PER을 화장품 ODM 업체(한국콜마, 코스맥스) 및 의료기기 업체(휴메딕스)와 비교했을 때도 저평가되어 있다고 평가됩니다.

표 5: 주요 밸류에이션 멀티플 (티앤엘 vs. 선정된 동종 기업)

기업명 PER (현재) PBR ROE (추정) 시가총액 (억 원)
티앤엘 10.58 ~ 13.93 2.83 - 4,909
업종 평균 954.40 - - -
Morepen Laboratories - - - 4,894

참고: ROE는 제시된 자료에서 직접적인 수치를 찾기 어려워 제외함. Morepen Laboratories는 시가총액만 제시됨.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및 목표주가 변화

현재 애널리스트 컨센서스는 3개 기관에서 '매수'(4.0/5.0) 의견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평균 목표주가는 97,333원입니다. LS증권은 90,000원 , 상상인증권은 96,000원 을 제시했습니다.

최근 목표주가는 하향 조정되는 추세입니다. 예를 들어, 상상인증권은 목표주가를 기존 110,000원에서 96,000원으로 낮췄으며 , LS증권도 90,000원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관세 우려와 환율 변동을 반영한 실적 전망치 하향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그러나 목표주가 하향에도 불구하고 '매수' 투자의견은 대부분 유지되고 있습니다.

표 3: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및 목표주가 변화

보고서 일자 증권사 투자의견 목표주가 (원) 이전 목표주가 (원) 현재 주가 (원)
2025/07/08 상상인증권 BUY 96,000 110,000 59,900
2025/06/18 LS증권 BUY 90,000 - 59,900
2024/04/26 이베스트투자증권 BUY 80,000 60,000 -
2024/04/11 유안타증권 매수 100,000 (신규 제시) -
출처:. 현재 주가는 2025/07/08 기준 59,900원.

 

티앤엘의 PER(10.58배)과 업종 PER(954.40배) 간의 현저한 차이는 시장이 티앤엘을 상당 부분 저평가하고 있거나, 업종 분류가 너무 광범위하여 왜곡된 수치를 보여주는 것일 수 있습니다. 비록 'KOSDAQ 제약' 업종 전체와의 직접적인 비교는 티앤엘의 특정 의료기기/더마코스메틱 사업 영역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지만, 동종 업계 내 다른 기업들(화장품 ODM, 의료기기)과 비교했을 때도 저평가되어 있다는 분석 은 주목할 만합니다. 애널리스트들이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은 시장이 단기적인 관세 위험을 과도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기업의 견고한 펀더멘털과 장기 성장 잠재력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줍니다. 이는 인내심 있는 투자자에게 잠재적인 투자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VIII. 위험 및 기회

A. 주요 위험

  • 무역 갈등 심화 및 관세 부과 악화: 가장 즉각적이고 중요한 위험은 미국과의 무역 긴장 심화 및 예상보다 높은 관세율 부과입니다. 이는 수익성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미국 시장 내 판매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경쟁 심화 및 시장 포화: 미국 여드름 패치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신규 경쟁자의 진입이나 기존 플레이어의 공격적인 마케팅은 '마이티 패치'의 시장 점유율을 잠식하거나 마케팅 비용 증가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규제 변화 또는 제품 승인 지연: 의료기기 산업은 규제 의존도가 높습니다. 규제 환경의 변화나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같은 신제품의 승인 지연은 성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유통 파트너(처치앤드와이트) 의존도: C&D는 티앤엘의 성장을 견인하지만, 단일 주요 파트너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위험을 내포합니다. C&D의 전략 변화나 파트너십의 문제 발생 시 티앤엘의 미국 매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불리한 환율 변동: 원화의 지속적인 강세는 수출 수익을 감소시켜 재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신규 시장 진출 또는 제품 출시 관련 실행 위험: 유럽 및 중국 시장으로의 성공적인 침투와 마이크로니들 패치 등 신제품의 상업화는 효과적인 실행을 요구합니다. 지연이나 실패는 성장 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B. 주요 기회

  • 관세 불확실성의 성공적인 해소: 관세 협상에서 유리한 결과가 도출되거나, 티앤엘에 대한 부담이 예상보다 적다는 점이 명확해진다면 주가 재평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신규 시장(유럽/중국)의 예상보다 빠른 침투: 유럽과 중국 시장에서의 빠른 성장은 미국 시장의 역풍을 상쇄하고 전반적인 매출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 신제품의 예상보다 강력한 시장 반응: 마이크로니들 패치 등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에 있는 신제품의 성공적인 상업화 및 시장 수용은 상당한 신규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 전략적 파트너십 또는 M&A 가능성: 추가적인 협력이나 인수합병은 티앤엘의 제품 포트폴리오, 기술력 또는 시장 도달 범위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 제품 적용 분야 및 적응증 확장: 핵심 소재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제품을 새로운 의료 또는 미용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시장 규모를 확대할 수 있습니다.

현재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한 주가 부진은 전형적인 '불확실성을 팔고, 명확성을 사는' 시나리오를 제시합니다. 만약 관세 결과가 현재 시장이 가격에 반영하고 있는 것보다 덜 심각하거나, 티앤엘이 가격 전략이나 지리적 다각화를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완화한다면, 주가는 상당한 반등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현재 주가 수준에서 하방 위험은 제한적이고, 리스크 해소 시 상방 잠재력은 큰 비대칭적인 위험/수익 프로필을 형성합니다.

 

IX. 결론 및 권고 사항

티앤엘의 최근 주가 부진은 주로 핵심 수출 품목인 '마이티 패치'에 대한 잠재적인 미국 관세 부과 우려에 기인하며, 이로 인해 2025년 실적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고 '피크아웃'에 대한 불안감이 조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우려는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도와 공매도 증가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단기적인 역풍에도 불구하고, 티앤엘은 강력한 펀더멘털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높은 수익성, 견고한 재무 건전성, 그리고 미국 시장에서 '마이티 패치'의 지속적인 시장 지배력은 기업의 핵심 경쟁력입니다. 장기적인 성장은 북미 시장 내 미개척 침투 잠재력, 유럽 및 중국으로의 전략적인 지리적 확장, 그리고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같은 유망한 신제품 파이프라인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또한, 대규모 생산능력(CAPA) 증설은 미래 수요에 대한 경영진의 자신감을 보여주며 '피크아웃' 우려를 불식시키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티앤엘은 외부 무역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현재 시장의 재평가 기간을 겪고 있는 펀더멘털이 강력한 의료기기 기업입니다.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은 관세 문제가 명확해질 때까지 지속될 수 있지만, 기업의 핵심 사업은 여전히 견고하며 제품 혁신과 글로벌 시장 확장을 통해 장기적인 성장 궤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밸류에이션은 성장 잠재력 및 동종 업계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잠재적인 저평가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를 위한 전략적 권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투자 기간: 관세 불확실성 해소 및 지리적/제품 다각화의 효과가 가시화될 수 있도록 장기적인 투자 기간(12~24개월 이상)을 설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주요 모니터링 지표:
    • 미국 관세 협상: 미국과 한국 간 의료기기 관세 관련 공식 발표나 진행 상황을 면밀히 주시해야 합니다.
    • 분기별 실적 보고서: 2025년 2분기 및 이후 분기별 실제 실적, 특히 매출총이익률 및 미국 수출 물량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분석해야 합니다.
    • 수주잔고 추이: 해외 창상피복재 수주잔고 공시를 통해 안정화 또는 회복 신호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유럽/중국 시장 성과: 신규 시장에서의 구체적인 매출 수치 및 유통망 확장 소식을 확인해야 합니다.
    • '마이티 패치' 시장 점유율/침투율: 미국 시장 내 '마이티 패치'의 지속적인 성과(아마존 순위, C&D 보고서 등) 데이터가 중요합니다.
  • 잠재적 진입 시점: 현재 주가 수준, 특히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시기는 티앤엘의 장기 성장 스토리에 대한 확신이 높은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진입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매수 시점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분할 매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위험 관리: 관세 결과가 예상보다 악화되거나 글로벌 확장이 크게 지연될 경우 단기적인 추가 하방 위험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 포트폴리오 내 분산 투자를 통해 위험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Disclaimer

: 본 리포트는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 결정과 그 결과는 투자자 본인에게 책임이 있습니다.